파이썬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구조를 제공합니다. 그 중에서도 딕셔너리(Dictionary)는 키(key)와 값(value)으로 이루어진 유연한 데이터 구조로,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.
파이썬 딕셔너리의 기초
파이썬 딕셔너리는 중괄호 {}를 사용하여 정의하며, 키와 값은 콜론(:)으로 구분하여 표현됩니다.
my_dict = {'name': 'Alice', 'age': 30, 'city': 'New York'}
위의 예시에서 'name', 'age', 'city'는 키(key)이고, 'Alice', 30, 'New York'은 각각 해당하는 값(value)입니다. 딕셔너리는 키를 사용하여 값을 검색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.
딕셔너리의 활용
값 접근과 수정
딕셔너리에서 값에 접근하려면 대괄호 [ ] 안에 키를 넣어주면 됩니다.
print(my_dict['name']) # 출력: Alice
키를 사용하여 값을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
my_dict['age'] = 31
print(my_dict) # 출력: {'name': 'Alice', 'age': 31, 'city': 'New York'}
새로운 키-값 쌍 추가
my_dict['gender'] = 'Female'
print(my_dict) # 출력: {'name': 'Alice', 'age': 31, 'city': 'New York', 'gender': 'Female'}
새로운 키-값 쌍을 추가하려면 해당 키를 지정하고 값을 할당하면 됩니다
딕셔너리의 중첩
파이썬 딕셔너리는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다음은 중첩된 딕셔너리의 예시입니다
nested_dict = {
'person1': {'name': 'Alice', 'age': 30},
'person2': {'name': 'Bob', 'age': 25}
}
위의 예시에서는 'person1', 'person2'라는 키에 각각 다른 딕셔너리가 할당되어 있습니다.
심화: 복잡한 중첩 구조
더 복잡한 중첩 구조의 딕셔너리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complex_dict = {
'outer_dict': {
'inner_dict_1': {
'inner_list': [
{'key1': 'value1'},
{'key2': 'value2'}
]
},
'inner_dict_2': {
'inner_list': [
{'key3': 'value3'},
{'key4': 'value4'}
]
}
}
}
위의 예시에서는 'outer_dict' 안에 두 개의 'inner_dict'가 있고, 각각의 'inner_dict' 안에는 리스트가 있으며, 리스트 안에는 또 다른 딕셔너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.
중첩 구조의 출력
# 중첩된 딕셔너리 값 출력 예시
print(complex_dict['outer_dict']['inner_dict_1']['inner_list'][0]['key1']) # 출력: value1
결론
파이썬의 딕셔너리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. 기초적인 사용법부터 복잡한 중첩 구조까지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습니다. 딕셔너리의 활용은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부분이므로, 잘 익혀두는 것이 좋습니다.
이상으로 파이썬 딕셔너리에 대한 기초부터 심화까지의 내용을 다뤄보았습니다.